728x90

최남선이 조선의 3대 명주 중 하나로 뽑은 관서감홍로. 곱게 물든 것 같은 붉은 색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관리들이 아끼던 술

‘명주삼절(名酒三絶)’이란 말이 있다. 술의 향기와 맛, 색을 가리키는 것으로 ‘명주삼절’ 중 특히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색깔로 사람을 현혹시키는 술인 관서(關西) 지방의 감홍로(甘紅露)을 소개하고자 한다.

 

관서감홍로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의 밀주단속기를 거치면서 맥이 끊겼던 술인데, 한말의 학자이자 시인이기도 했던 육당 최남선에 의해 먼저 그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고 최근에 다시 조명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남선은 그의 [조선상식문답]에서 ‘조선의 3대명주’ 가운데 관서감홍로를 으뜸으로 꼽고, 다음으로 전라도의 이강고와 죽력고를 다음으로 소개하면서, 제조방법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해 놓았다.

 

관서감홍로는 술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관서지방에서 생산되고, 그 맛이 달고(甘) 붉은 빛깔(紅)을 띄는 이슬 같은 술(露)’이라는 뜻이다. 평양을 중심으로 한 관서지방의 특산명주로 알려져 왔던 까닭에 ‘관서감홍로’ 또는 ‘평양감홍로’로도 불려져 오게 되었다. 관서감홍로는 조선시대 중기 1787년의 간행된 것으로 알려진 [고사십이집]을 비롯 1827년의 [임원십육지], 1849년의 [동국세시기] 등의 여러 옛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데, 이들 문헌에 “관서감홍로는 세 번 고아서 만든 소주를 이용하여 만든 만큼 맛이 매우 달고 맹렬하며, 술 빛깔이 연지와 같아 홍로주 가운데서도 으뜸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관서감홍로에는 다음과 같은 얘기가 구전해온다. 과거 조선시대에 외직(外職)의 지방 관리로서 최고의 선망 관직은 평양감사였다고 한다. 때문에 벼슬길에 오른 사람이면 평양감사가 되는 것을 가문의 영광이자 출세를 보장받는 길로 여겼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정기간 그 직에 있게 되면 승진이나 보직 순환의 예에 따라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중앙부처에서 어느 평양감사를 내직(內職)으로 승차시켜 불러들였는데, 정작 당사자인 평양감사는 ‘내직승차는 감사하나 계속해서 평양감사로 봉직(奉職)할 수 있게 해달라’는 상소를 올렸다 한다. 그 이유를 알고 보니, ‘감홍로를 못 잊어 평양을 떠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평양감사도 저 싫다 하면 하는 수 없다’는 말이 생겨났다는 속담도 있고 보면, 감홍로의 맛을 보지 않고서는 그 어떤 말로도 설명이 불가하다고 하겠다. 관서감홍로의 향기와 맛이 과연 어떠하였기에 권세도 부귀영화도 마다하였을까?

 

한편 관서감홍로 외에도 조선시대 관리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았던 또 다른 술로 영광지방의 강하주(薑荷酒)가 있다. 영광지방의 강하주에 얽힌 다음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영광고을 현감이 내직으로 승차해 홍문관으로 발령을 받았는데도, 내직 승차를 마다하고 ‘이 고을 현감으로 봉직할 수 있게 해달라’는 상소를 올렸다 한다. 그 연유를 물으니, ‘영광고을의 강하주와 참조기가 맛이 좋은데 승차해 한양으로 가게 되면, 더 이상 강하주와 조기를 맛볼 수 없다’는 대답이었다는 것이다.

 

과거 조선시대 선비들이 간구했던 대망(大望)은, 과거에 등과해 입신양명하는 것이었다. 특히 홍문관의 관원이 되는 것은 학문하는 선비들 사이에서는 명성과 함께 출세를 보장받는 요직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도 홍문관 관원이 되는 것 보다 영광고을 현감으로 봉직하는 것이 소원이었다는 얘기는 당시 이 고을의 특산주였던 강하주의 명성을 뒷받침해준다고 할 것이다. 강하주는 현재 보성 회천면 율포리에 사는 도화자 씨가 맥을 이어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45호가 되었다.

 

가마솥에 물을 붓고 술을 다시 붓는 모습.

술이 뜨거워지면 다시 물을 붓고 끓기를 기다린 후 다시 술을 붓는다.

 

 

독한 술에 벌꿀을 넣어 주독을 풀게하다

관서감홍로의 특징은, 무엇보다 지금까지 알려진 그 어떤 전통주보다도 밝고 붉은 선홍색의 자극적이고 화려한 색깔에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선홍색의 발현은 증류과정 또는 증류 후의 착색과정에 기인한 것으로, 부재료로 사용되는 지초(芝草)라고 하는 건근 약재에 의한 착색에서 비롯된 색깔이다. 그 빛깔이 어찌나 붉고 밝던지, 혼례 때 신부들의 볼에 바르는 연지와 같다 했으며, 이 색깔에 따른 강한 시각적 자극은 구미를 돋우는데 적격이다 할 수 있다. 또한 여느 소주류와는 다르게 두세 차례 증류를 한 까닭에 알코올도수 45~70%에 이르는 고도주인 데도 벌꿀을 사용하여 그 맛은 달고 부드럽거니와, 마시고 나면 타들어가는 듯 강한 자극적인 맛에 오히려 시원하다는 느낌을 준다.

 

사실 감홍로는 진도지방의 홍주와 별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증류식 소주는 탁주나 청주, 약주 등 여느 전통주처럼 그 양조과정이 같다. 다만, 진도홍주는 주재료를 보리쌀로 빚는 데다 소줏고리로 한 차례 증류하는데, 그 과정에서 소줏고리의 귓대 밑에 지초(芝草)를 밭쳐둠으로써 귓대를 통해 떨어지는 소주방울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지초를 통과하게 되는 순간 지초 고유의 색깔인 선홍색의 옷을 입게 되어 붉은 빛깔을 띠게 되므로 붉은 술 빛깔 그대로 ‘홍주(紅酒)’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따라서 감홍로는 진도홍주와 같은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소주를 얻는데, 일반 소주와는 달리 한두 차례 증류과정을 더 반복하여 보다 더 높은 알코올도수의 증류주를 얻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감홍로의 특징이랄 수 있는 붉은 색과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소주에 지초와 벌꿀을 넣어 술 빛깔과 단맛을 얻게 되는데 술을 빚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홍국(紅麴)’을 비롯하여 용안육(龍眼肉), 진피(陳皮), 방풍(防風) 등을 추가시키기도 하는 것을 여러 기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임원십육지]에는 지초 대신 ‘장미꽃’이나 매화, 감국, 당귀, 생강 등 각각의 약재를 넣어 빚어, ‘장미로(薔薇露)’, ‘매화로(梅花露)’, ‘감국로(甘菊露)’, ‘생강로(生薑露)’, ‘당귀로(當歸露)’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관서감홍로는 소주에 사용되는 부재료에 따라 술 이름이 달라지는, 이른 바 혼성주의 한 가지로, 진도지방의 홍주나 궁중의 홍로주(紅露酒)와 별반 차이가 없는 같은 홍주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따지고 보면 관서감홍로는 단지 독한 술에 감미와 향기를 주어 독한 맛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 벌꿀이 추가될 뿐이다.


소줏고리로 증류하는 모습.

 

하지만 같은 홍주라고 할지라도 관서감홍로가 평양지방의 명주(銘酒)로 뿌리를 내리게 된 배경에는 다른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평양을 중심으로 하는 관서지방은 북쪽에 위치해 있어 한 겨울철의 추위는 뼈를 에이는데, 이때 추위를 극복할 수 있는 어떤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 것이 감홍로의 알코올도수가 높아진 이유일 것이다. 하지만 도수가 높은 술을 상용하게 되면 주량이 큰 사람이라도 주독(酒毒)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바다. 따라서 주독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방법으로 달고 부드러운 맛의 벌꿀을 넣음으로써 그 맛을 부드럽게 하는 한편, 과음을 억지시킬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실제로 벌꿀에는 주독을 풀어주고 가슴앓이나 근육통·치통을 해소하는 작용과 장의 대사기능을 활성화를 비롯하여 비타민 B군이 풍부하여 신경 자극을 완화시켜주는 효능이 있다. 또한 불면증을 다스려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쨌든 감홍로는 맹렬하다할 만큼 독한 맛을 간직하면서도 매우 달고 부드러운 맛과 연지와 같은 아름다운 술 빛깔을 특징으로 애주가들을 사로잡아 왔다. 필자는 관서감홍로를 재현하여 수십 차례 지인들에게 명절 선물로, 또는 평소 연구소를 찾아오는 손님들의 접대와 특별한 술자리에 이용해 오고 있는데, 그 반응은 한결같다. “어떻게 하면 이 술을 자주 맛 볼 수 있겠습니까?” 또는 “왜 이와 같은 좋은 술들은 상품화가 안되는 것입니까?” 하는 반응이다. 필자 역시 하루빨리 관서감홍로가 상품화되어 더욱 널리 대중에게 알려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박록담
시인, 한국전통주연구소장, 숙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

발행일  2012.04.26

 

728x90
Posted by 호랭™
,